기술과 사람 전기차 충전기 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시간
2024 KTL 전기차 충전기 고객세미나 개최 및 고객사 만남
전기차충전기 국제표준화 글로벌인증
KTL에서는 급변하는 전기차 충전기 산업의 동향을 파악하고
국내 기업에 적극적으로 시험·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전기차 충전기 분야 국제표준화 활동을 활발히 지원하고 있다.
이에 지난 11월 26일 「글로벌 시장진출을 위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검증 및 실증형 시험인증 기반구축」 과제의 일환으로
‘2024 KTL 전기차 충전기 고객세미나’를 개최, 국내 전기차 충전기 생산·제조 기업의 수출과 성장을 지원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2024 KTL 전기차 충전기 고객세미나 개최

고객세미나
고객세미나
최근 전 세계 전기차 충전기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키워드는 V2X(Vehicle to Everything)이다. V2X는 전기자동차와 Grid, 차량, 모바일 기기 등을 연결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번 고객세미나에서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전력을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V2L(Vehicle to Load)* 어댑터 및 인터페이스 국제표준 개발 동향과 V2G(Vehicle to Gird) 기술과 관련한 급속 전기차 충전기 양방향 전력변환(Bidirectional Power Transfer) 기술기준 동향을 소개했다. 또한, 르노코리아의 김경진 수석을 외부전문가로 초대하여 완성차 관점에서 바라본 V2G 산업에 대한 기술 전망에 대해 들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뿐만 아니라, 국내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 해외인증제도를 소개하고, 전기차 충전기 해외인증 가이드북을 제공하여 해외 수출을 희망하지만 관련정보가 부족한 국내기업을 지원하고자 했다.
 V2L(Vehicle to Load)과 V2G(Vehicle to Grid)
V2L : 차량 배터리의 전기를 외부 기기에 공급하는 기술
V2G : 차량 배터리의 전기를 전력망(Grid)과 양방향으로 주고받는 기술(V2L보다 확대된 개념)
가이드북
전기차 충전기 산업은 세계적인 친환경 트렌드에 맞춰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맞춰 전 세계 국제표준화 기술기준 또한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가 국내기업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KTL은 국내 전기차 충전기 업체에 최신 국제표준 정보를 비롯해 국제수준의 해외 시험·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KTL은 이번 세미나와 같은 행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기 해외인증 가이드북을 매년 발행해 국내 전기차 충전기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전력망 효율성과 충전 안전성 확보가 핵심”
‘한국알박(주)’ 박필홍 프로

간단한 회사 소개 부탁드립니다.

박필홍 프로
박필홍 프로
세계적 진공기술을 보유한 한국알박(주)는 반도체 제조 협력사로 출발해 지난 2015년부터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현재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내 전기차 충전기 설치 사업을 주력으로 차세대 스마트그리드 기술까지 사업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KTL과는 어떻게 인연을 맺게 되었나요?

박필홍 프로
전기차 충전기의 조달청의 MAS(다수공급자계약) 인증을 진행하면서 도움을 받게 되었습니다. 보통 인증기관(업)에 의뢰를 하게 되면 부서별로 전문 영역이 나눠져 있어서 필요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관련 부서에 별도로 접촉해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편인데요. KTL의 경우 담당자가 배정이 되고 나면 대부분의 일정을 다 진행해주시고, 필요한 정보나 내용도 챙겨봐 주시기 때문에 피드백 및 진행속도가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또 우리 기업은 르노삼성 협력사이기도 해 프랑스 해외인증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KTL이 EU 인증기관 ASEFA의 프랑스(EV Ready Mark)와 협약이 되어 있어 업무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하셨는데, 어떤 내용인가요?

지난 11월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에서 산업통상자원부 후원으로 ‘제9차 전력신산업 활성화 포럼 콘퍼런스’를 개최했는데요. 이때 지능형전력망 산업 발전에 기여한 바를 인정받아 장관 표창을 받게 되었습니다. 현재 스마트그리드 전력망을 이용해서 전기차 충전기에 있는 전기를 공동주택이나 산업용으로 이용하게 함으로써 발전소를 도심에서 멀리 혹은 덜 짓게 하는 방향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는데, 그에 대한 노력을 인정해주신 게 아닌가 싶습니다.
향후 계획이나 목표는 무엇인가요?
전기차 충전기는 전력망 가장 말단에 위치해 있습니다. 전기가 발전소에서 배전망을 통과해 자동차로 이어지는 과정인데, 자동차에 있는 전기 혹은 전기차 충전기에 있는 전기를 전력망으로 확대할 방법에 대한 연구는 계속해나갈 것입니다. 아직 규제가 있어서 강원도나 충청도의 전기를 서울이나 경기도로 이동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스마트그리드를 통해 해법을 찾아가고자 합니다. 이 과정에서 IEC 국제표준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KTL과 협력하며 좋은 성과를 만들어나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박필홍 프로
디지털산업본부 융복합시험인증센터 장안나 주임연구원
02-860-1422
2025
Vol.48
January | february